** 대동맥 죽상경화증 (Aortic Atherosclerosis)**은 대동맥의 벽에 **죽상 플라크(atherosclerotic plaque)**가 쌓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딱딱해지는 질환입니다. 대동맥은 심장에서 나오는 가장 큰 동맥으로, 몸 전체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주요 역할을 합니다. 대동맥이 손상되거나 좁아지면 신체의 여러 부위로의 혈액 공급이 저하되어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동맥 죽상경화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플라크가 축적되며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만성 질환으로, 고혈압, 고콜레스테롤, 흡연 등과 같은 위험 요인에 의해 촉발됩니다. 이 질환은 흔히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으나, 진행될 경우 매우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죽상경화증은 심혈관 질환으로 치료비 지원의 산정특례 제도의 대상 질환에 포함이 되어 환자와 가족의 많은 부담을 해결해 줍니다.

1. 대동맥 죽상경화증의 원인
대동맥 죽상경화증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은 생활 습관과 신체적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 고콜레스테롤: 혈액 내 저밀도 지단백(LDL) 콜레스테롤이 증가하면, 혈관 벽에 콜레스테롤이 침착되어 플라크가 형성됩니다.
- 고혈압: 높은 혈압은 대동맥 벽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해 손상시키며, 죽상경화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흡연: 흡연은 혈관을 손상시키고, 플라크 형성을 가속화합니다.
- 당뇨병: 당뇨병 환자는 고혈당 상태로 인해 혈관 내벽이 손상되기 쉬워 죽상경화증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유전적 요인: 가족 중 심혈관 질환을 앓은 사람이 있는 경우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대동맥 죽상경화증의 증상
대동맥 죽상경화증은 초기 단계에서는 뚜렷한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여러 신체적 변화가 나타나게 됩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흉통: 대동맥이 좁아지면 가슴 부위에서 압박감이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심장의 산소 공급이 줄어들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 복통: 대동맥이 복부로 이어지는 경우 복부 대동맥의 혈류가 감소하면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호흡곤란: 대동맥이 심장 근처에서 좁아지면 심장 기능이 저하되고, 호흡 곤란이나 숨이 차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팔, 다리 통증: 대동맥이 좁아져 말초 혈류가 줄어들면 팔이나 다리에서 통증을 느끼거나 감각이 둔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대동맥이 손상된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동맥의 특정 부위에 플라크가 축적되면 해당 부위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어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대동맥 죽상경화증의 진단과 산정특례 제도
대동맥 죽상경화증은 다양한 영상 검사와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주요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초음파 검사(Abdominal Ultrasound): 대동맥의 벽을 초음파로 관찰하여 플라크나 혈관의 좁아진 정도를 평가합니다.
- CT 스캔(Computed Tomography): 대동맥의 상태를 3D 영상으로 확인하여 플라크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 MRI: 대동맥의 세밀한 구조를 확인하고 플라크나 협착 여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 혈액 검사: 콜레스테롤 수치와 염증 지표(CRP, C-반응성 단백)를 측정하여 죽상경화의 위험성을 평가합니다.
진단 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심혈관 질환 중 하나인 대동맥 죽상경화증은 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하는 산정특례 제도의 대상 질환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환자는 치료비 95%를 지원 받을 수가 있어, 환자와 가족의 많은 부담을 덜 수가 있습니다.
4. 대동맥 죽상경화증의 치료
1) 약물 치료
대동맥 죽상경화증의 초기 단계에서는 약물 치료가 주로 시행됩니다. 다음과 같은 약물이 사용됩니다:
- 스타틴(Statins):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플라크 형성을 막고, 이미 형성된 플라크를 안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항고혈압제(Antihypertensive Drugs): 혈압을 낮춰 대동맥의 압력을 줄여주며, 혈관 손상을 예방합니다.
- 항혈소판제(Antiplatelet Drugs):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여 플라크 주변에 혈전이 형성되는 것을 막습니다. 대표적으로 아스피린이 사용됩니다.
2) 시술 및 수술
플라크가 심하게 쌓여 혈류가 크게 저하된 경우에는 시술이나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스텐트 삽입술: 혈관이 좁아진 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여 혈류를 개선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대동맥이 좁아진 부위를 확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 관상동맥 우회술: 대동맥의 플라크가 심하게 쌓인 부위를 우회하여 새로운 혈관을 연결하는 수술입니다. 심장이나 주요 장기로의 혈류를 회복시킵니다.
- 대동맥 교체 수술(Aortic Replacement Surgery): 대동맥의 특정 부위가 심각하게 손상된 경우 인공 혈관을 사용하여 손상된 대동맥을 교체하는 수술입니다.
3) 생활 습관 개선 – 식생활가이드 및 운동
대동맥 죽상경화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생활 습관의 개선입니다.
- 건강한 식습관: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음식을 피하고,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중심으로 한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운동: 규칙적인 운동은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대동맥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걷기, 수영과 같은 유산소 운동이 효과적입니다.
- 금연: 흡연은 대동맥을 포함한 혈관을 손상시키고, 죽상경화증을 촉진하므로 반드시 금연해야 합니다.
- 체중 관리: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과체중이나 비만을 방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5. 대동맥 죽상경화증의 합병증
대동맥 죽상경화증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주요 합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동맥류(Aneurysm): 대동맥이 죽상경화증으로 인해 약해지면 특정 부위가 비정상적으로 팽창하는 대동맥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동맥류는 대동맥이 파열될 위험이 있어 매우 위험한 상태입니다.
- 대동맥 박리(Aortic Dissection): 대동맥 벽이 파열되거나 내벽이 찢어지는 상태로, 응급 수술이 필요합니다.
- 심장 질환: 대동맥 죽상경화증이 심장으로 이어지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심장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대동맥 죽상경화증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진과 건강한 생활 습관을 통해 예방하고, 질환이 발생한 경우에는 적절한 치료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